문헌집성 Texts

鏡虛文獻

경허

法語 법어 DT

  1. K-DT-001진흙소의 울음(泥牛吼)
  2. K-DT-002 일진화一塵話
  3. K-DT-003 등암 화상에게 주다(與藤菴和尙)
  4. K-DT-004 대답한 법문(答話)
  5. K-DT-005 법계당에게 보이다(示法界堂)
  6. K-DT-006 승화 상인에게 주다(贈承華上人)
  7. K-DT-007 말쟁이 고개에서 나무꾼 아이들과 주고받은 문답(於馬亭嶺與樵童問答)
  8. K-DT-008 박태평과의 문답(與朴太平問答)
  9. K-DT-009 대중에게 보이다(示衆)
  10. K-DT-010 與法子滿空 법제자 만공에게 주다
  11. K-DT-011 심우도 법문尋牛圖法門
  12. K-DT-012 법자 혜월에게 주다(與法子慧月)
  13. K-DT-013 법자 한암에게 주다(與法子漢巖)

序文 서문 AC

  1. 범어사 수선사 방함록 서문(梵魚寺鷄鳴庵修禪社芳啣淸規)
  2. 범어사에 선사계의를 설치한 데 대한 서문(梵魚寺設禪社契誼序)
  3. 해인사 수선사 방함인(海印寺修禪社芳啣引)
  4. 『정법안장』의 서문(正法眼藏序)
  5. 화엄사 상원암에 다시 선실을 설치하고~(華嚴寺上院庵復設禪室定完規文)
  6. 함께 정혜를 닦아 함께 도솔천에 나서~(結同修定慧同生兜率同成佛果稧社文)
  7. 남원 천은사 불량계에 대한 서문(南原泉隱寺佛粮契序)
  8. 덕유산 송계암이 화재로 소실된 뒤 중창하는~(德裕山松溪庵回祿後成造勸善文)
  9. 상포계의 서문(喪布稧序)
  10. 범어사 총섭방함록의 서문(梵魚寺總攝芳啣錄序)

記文 기문

  1. 합천군 가야산 해인사 수선사 창건에 대한~(陜川郡伽倻山海印寺修禪社創建記)
  2. 범어사 계명암 창건에 대한 기문(梵魚寺鷄鳴庵創建記)
  3. 동래군 금정산 범어사 계명암에~(東萊郡金井山梵魚寺鷄鳴庵創設禪社記)
  4. 범어사 금강암에 칠성각을 창건한 데 대한 기문(梵魚寺金剛庵七星閣創建記)
  5. 동리산 태안사 만일회 범종을 시주한~(桐裏山泰安寺萬日會梵鍾檀那芳啣記)

書簡 서간 LT

  1. 장 상사와 김 석두에게 올린 편지(上張上舍金石頭書)
  2. 자암 거사에게 올린 편지(上慈庵居士書)
  3. 김 석사와 장 상사에게 올린 편지(上金碩士張上舍書)
  4. 무이당에게 편지를 부쳐 보내다(寄贈無二書)

行狀 · 影贊 행장 · 영찬 BI

  1. 서룡 화상의 행장(瑞龍和尙行狀)
  2. 取隱和尙行狀 취은화상 행장
  3. 금우 화상 영찬錦雨和尙影贊
  4. 인봉 화상 영찬茵峰和尙影贊
  5. 대연 화상 영찬大淵和尙影贊
  6. 귀암 화상 영찬歸庵和尙影贊
  7. 고암 화상 영찬古庵和尙影贊
  8. 금봉 화상 영찬金峰和尙影贊
  9. 동곡 화상 영찬東谷和尙影贊

五言絶 · 五言律 오언절구·오언율시 FP

  1. 은선동에 노닐며(遊隱仙洞)
  2. 통도사 백련암에서(題通度寺白蓮庵)
  3. 우연히 읊다 偶吟[二十九首]
  4. 범어사 보제루에서(題梵魚寺普濟樓)
  5. 운달산으로 가는 도중에 입으로 불러서 읊다(雲達山途中口號)
  6. 이별하며 주다(贈別)
  7. 서동을 시켜 물을 읊게 하고 스스로 읊다(使書童咏水自咏)
  8. 우연히 읊다 偶吟(十一首)
  9. 사상동을 지나는 길에(社上路中)
  10. 해인사 구광루에 제하다(海印寺九光樓)
  11. 가야산 홍류동에 노닐며(伽倻山紅流洞)
  12. 남천당 한규에게 주다(與南泉堂翰奎)
  13. 진응 강백에게 답한 게송(震應講伯答頌)
  14. 향각香閣
  15. 먼 길손(遠客)
  16. 칠언절구(七言絶)
  17. 높은 의리(高義)
  18. 조사가 한번 떠나다(祖師一去)
  19. 호서의 길손(湖西客)
  20. 의구한 청산(依舊靑山)
  21. 명산을 유람하다(遊歷名山)
  22. 물을 건너고 산을 오르다(渡水登山)
  23. 풍류 경치(風流景)
  24. 추억追憶
  25. 한번 이별(一別)

七言絶 · 七言絶 언절구·언율시 SP

  1. 해인사 구광루에 제하다(海印寺九光樓)
  2. 가야산 홍류동에 노닐며(伽倻山紅流洞)
  3. 남천당 한규에게 주다(與南泉堂翰奎)
  4. 무흘사를 찾아가서(訪武屹寺)
  5. 벗들과 구중산에 올라(與諸益登九重山)
  6. 청암사 수도암에 올라(上靑岩寺修道庵)
  7. 수도암을 찾아가서(訪修道庵)
  8. 옥과군 관음사 수익 스님에게 주다(贈玉果觀音寺修益師)
  9. 영호당에게 화답하다(和映湖堂)
  10. 송광사 금명당에게 화답하다(和松廣寺錦溟堂)
  11. 송광사 월화 강백과 함께 화엄사로~(松廣寺月和講伯同行華嚴路中口號)
  12. 공림사空林寺
  13. 옥천 화일포를 지나며(沃川花日浦)
  14. 정혜사定慧寺
  15. 동짓날 상순에 도하리 서당에서 강계에 부친 시(至月上浣在都下里書塾寄江界韻)
  16. 갑산 길에 들어서서 강계~ 入甲山路(踰江界牙得浦嶺)
  17. 장진을 지나는 길에(長津路上)
  18. 장진강을 지나며(過長津江見三胎子)
  19. 회포를 쓰다(書懷)
  20. 창평의 빗장수 양씨에게 답하다(答昌平粱梳商)
  21. 강계 종남면에서 이여성에게 화답하다(江界終南面和李汝盛)
  22. 이 교사와 밤에 읊다(與李敎師夜吟)
  23. 회포를 쓰다(書懷)
  24. 제야除夕
  25. 설날(元旦)
  26. 인풍루에 앉아 판상의 시에 차운하다(坐仁風樓次板上韻)
  27. 박리순과 회포를 풀다(與朴利淳叙懷)
  28. 포청동 이 선생에게 화답하다(和捕廳洞李先生)
  29. 김담여·김소산·오하천과 단란히 모여(與金淡如金小山吳荷川團會)
  30. 최문화에게 화답하다(和崔文華)
  31. 황린리 노상에서 입으로 불러 읊다(黃麟里路中口號)
  32. 진평리에서 최문화와 이별하며(津坪里別崔文華)
  33. 영변의 신시장을 지나며(過寧邊新市場)
  34. 오수산 아래에서 눈 내리는 밤 감회가 있어(烏首山下雪夜有感)
  35. 신덕재에서 김일련과 회포를 읊다(新德齋與金日連咏懷)
  36. 김소산의 서재에서(於金小山書幌)
  37. 공귀리에서 벗들에게 화답하다(公貴里和諸益)
  38. 희천 두첩사에 앉아서(坐熙川頭疊寺)
  39. 동짓날에 벽동 창명학교에서 박형관~(冬至日碧潼暢明學校朴亨觀與諸益)
  40. 봉천대에 노닐며(遊奉天臺)
  41. 임 상사에게 화답하다(和林上舍)
  42. 하청동에서 오하천과 단란히 만나(河淸洞與吳荷川團會)
  43. 상원암에서 하천과 지난 얘기를 하다(上院庵與荷川叙舊)
  44. 임인규에게 화답하다(和林麟奎)
  45. 김낙주와 그의 아우 치주에게 화답하다(和金駱胄與其弟駞胄)
  46. 흥유촌에서 김유근에게 화답하다(興有村和金有根)
  47. 김담여에게 화답하다(和金淡如)
  48. 두문동에서 강봉헌에게 화답하다(杜門洞和姜鳳軒)
  49. 위원渭原에서 서울 사는 유진구에게 화답하다(渭原和京居劉震九)
  50. 위원에서 송의징에게 화답하다(渭原和宋儀徵)
  51. 한학순에게 화답하다(和韓鶴淳)
  52. 장사윤에게 화답하다(和張士允)
  53. 김수호에게 화답하다(和金守鎬)
  54. 박영상에게 화답하다(和朴瑛祥)
  55. 신평리에 노닐며(遊新坪)
  56. 송평리 서숙에서 김응삼에게 화답하다(松坪里書塾和金應三)
  57. 김영항과 김담여에게 화답하다(和金英抗與金淡如)
  58. 벗들과 자북사에 올라(與諸益上子北寺)
  59. 위원에서 이택룡에게 화답하다(渭原和李澤龍)
  60. 벗들에게 화답하다(和諸益)
  61. 김용선에게 화답하다(和金用宣)
  62. 벗들과 함께 북문루에 올라(與諸益上北門樓)
  63. 강장에 와서(遊講場)
  64. 해암과 초당에 앉아서 운을 뽑아 선仙 자를 얻다(與海巖坐草堂得仙字)
  65. 낮잠(午枕)
  66. 시습재에 걸린 판상의 시에 차운하다(次時習齋板上韵)
  67. 해암과 밤중에 앉아서(與海巖夜坐)
  68. 운파의 별장을 찾아서(訪雲坡林庄)
  69. 중복날 시습재에서 술을 마시며(中庚日時習齋小酌)
  70. 금천관에 노닐며(遊錦川舘)
  71. 일해정사에서 술을 마시며(一海精舍小酌)
  72. 북문 밖을 나와 박 상사를 방문하다(出北門外訪朴上舍)
  73. 밤중에 앉아서(夜坐)
  74. 인풍루에서 저물녘에 조망하다(仁風樓晩眺)
  75. 남문루南門樓
  76. 남문루에 올라(登南門樓)
  77. 수자리 서러 간 사내의 아내(征婦)
  78. 야학촌野鶴村
  79. 북루北樓
  80. 소산의 정원 정자에 앉아(坐小山園亭)
  81. 망미정에 올라(登望美亭)
  82. 바둑(圍棋)
  83. 인풍루에 올라(登仁風樓)
  84. 제비(鷰)
  85. 찍찍 우는 벌레 소리(喞喞)
  86. 빗속에 거연정에 올라(雨中登居然亭)
  87. 청명일에 동문루에 올라(淸明日上東門樓)
  88. 북루北樓
  89. 육삼정六三亭
  90. 봉선화鳳仙花
  91. 육삼정六三亭
  92. 면가정眄柯亭
  93. 용포재에 와서(遊龍浦齋)
  94. 김박언에게 부치다(寄金泊彥)
  95. 김수장에게 부치다(寄金水長)
  96. 신해년 봄에 우연히 송남하를 만나(辛亥春偶逢宋南河)
  97. 청암사 조실에서 만우당과 작별하며(靑巖寺祖室與萬愚堂話別)
  98. 대광명大光明
  99. 점수돈오漸修頓悟
  100. 옛날 스님을 추모하며(追慕古師)
  101. 인간 세상에서 티끌을 씻다(滌塵人間)
  102. 시 정서 술자리 얘기(詩情酒話)
  103. 해 그림자가 물에 잠기다(日影沈水)
  104. 스스로 부끄러워(自愧)
  105. 낮잠(午睡)
  106. 꽃은 붉고 풀은 우거졌다(花紅草菲)
  107. 깨달음의 꽃(覺花)
  108. 팔공산八公山
  109. 스스로 웃다(自笑)
  110. 구광루九光樓
  111. 덧없는 인생(浮生)
  112. 작별作別
  113. 석별惜別
  114. 고향을 떠나 객창에서(離鄕客窓)
  115. 동해의 절경(東海絶景)
  116. 문을 나서서 석장을 날리다(出門錫飛)

卽事 즉사 

  1. 통도사 백운암通度寺白雲庵
  2. 통도사 백련암에서 환성 노사의 시에~(過通度寺白蓮庵謹次喚惺老師韻)
  3. 하안거 해제일에 원효암에 올라(梵魚寺解夏日上元曉庵)
  4. 범어사로부터 해인사로 가는 도중에 입으로 불러~(自梵魚寺向海印寺道中口號)
  5. 불명산 윤필암에 들르다(過佛明山尹弼庵)
  6. 윤필암에서 하안거 해제 뒤에 우연히 읊다(尹弼庵解夏後偶吟)
  7. 영명당과 불령사로 가는 도중에(與永明堂行佛靈途中)
  8. 지리산 영원사에서(題智異山靈源寺)
  9. 허주 장로에게 부치다(寄虛舟長者)
  10. 송광사 육감정에서(題松廣寺六鑑亭)
  11. 금산 보석사에서(題錦山寶石寺)
  12. 마곡사에서(題麻谷寺)
  13. 천장암에서(題天藏庵)
  14. 만공이 “스님이 가신 뒤에 중생을 어떻게 교화합니까?”라고 물은 데 답하다(答滿空問和尙歸去後衆生如何敎化)
  15. 갑산 이수동을 지나며(過甲山利水洞)
  16. 석왕사 영월루(題釋王寺映月樓)
  17. 갑산 이수동을 지나며(過甲山利水洞)
  18. 낚시질을 구경하며(觀釣魚)
  19. 연은이 나무를 심고 꽃을 가꾸는 것을 보고 읊다(詠蓮隱種樹栽花)
  20. 약초꾼 조 씨의 시에 차운하다(次採藥商趙氏韻)
  21. 우연히 읊다(偶吟)
  22. 희천 두첩사에 앉아서(坐熙川頭疊寺)
  23. 벗과 이별하며(別友人)

  1. 오도가悟道歌
  2. 심우송尋牛頌[二篇]
  3. 참선곡參禪曲
  4. 가가가음可歌可吟
  5. 법문곡
  6. 금강산 유산가金剛山遊山歌
  7. 금강산 명구[2편](金剛山名句)
  8. 헐성루에서[2편](題歇惺樓)

기타

  • 부록附錄
  • 사륙언四六言
  • 경허 선사 추모송[3수]鏡虛禪師追慕頌[三絶]

기타순서 *웹 편집상 단위를 책이 아닌 각 원고를 기준으로 정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