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공법어⟫
擧揚 (57)
게송(偈頌)...128
경허 법사의 천화를 듣고 읊다[聞鏡虛法師遷化吟]...
함경도 갑산군 웅이면 난덕산 밑에서 선법사의 다비를 모실 때 읊다[於咸鏡道甲山郡熊耳面難德山下先法師茶毘時吟]...
경허 선사 영찬(鏡虛禪師影讚)...
자화상에 부쳐[自影讚]...
달마 영찬(達摩影讚)...
간월암에서[題看月庵]...
간월암 중창 게송[看月庵重創頌]...
간월도를 다녀오는 길에 대나무를 얻고 읊다[看月島巡廻路得竹吟]...
갱진교에서[題更進橋]...
백운을 바라보고 읊다[望白雲吟]...
거문고 법문[彈琴法曲]...
난초를 찬탄하다[蘭草讚]...
매화를 찬탄하다[梅花讚]...
우연히 읊다[偶吟]...
오대산 적멸궁에서[題五臺山寂滅宮]...
오대산 월정사에서[題五臺山月精寺]...
팔공산 성전에서[題八公山聖殿]...
사월 초파일 병석에서 읊다[四月八日枕席吟]...
납월 팔일 법좌에 올라 대중에게 보이다[臘八上堂示衆]...
납월 팔일[臘八日]...
해제 때 대중에게 보이다[解制示衆]...
벽해를 지나며 읊다_2편[過碧海吟]...
각화(覺華)...
비로봉에서 읊다[毘盧峰吟]...
비로봉에 올라 읊다[登毘盧峰吟]...
금강산 반야대에서[題金剛山般若臺]...
보덕굴에서 읊다[普德窟吟]...
금강산 업경대에서[題業鏡臺]...
금강산에서 읊다[金剛山吟]...
태화산에서 읊다_3편[泰華山吟]...
도비산 부석사에 올라 읊다_2편[登島飛山浮石寺吟]...
참회게문(懺悔偈文)...
현암 선자에게 보이다_태흡 참회게문[示玄庵禪子_泰冾懺悔偈文]...
보덕사에서 읊다[報德寺吟]...
성월당을 만장하다[輓惺月堂]...
침운당 만송(枕雲堂輓頌)...
침운당 임종게 답송[答枕雲堂臨終偈]...
운암스님 만송[雲岩師輓頌]...
석호 영가를 위하여 읊다[爲昔湖靈駕]...
상로 구공 거사에게 주다[贈相老俱空居士]...
간월도에서 서산 군수 박영준에게 주다[於看月島贈瑞山郡守朴榮俊]...
백련성에게 보이다[示白蓮性]...
혜일·심월 두 내외 신자에게 주다[贈慧日·心月內外信者]...
일본인 석정옥룡 거사에게 보이다[示日本人石井玉龍居士]...
선원 잡지의 권두언[禪院雜誌卷頭言]...
학교창립 축시(學校創立祝詩)...
구황의 처방[救荒方]...
이왕궁 족자에 붙이다[李王宮簇子畵題]...
부채를 두고 읊다[扇子吟]...
부민관에서 무희의 춤을 보고[於府民館中觀舞姬]...
두 비구가 싸울 때[兩比丘諍論]...
보월성인에게 보이다[示寶月性印]...
혜암현문 선자에게 보이다[示惠菴玄門禪子]...
고봉 선자에게 보이다[示古峰禪子]...
성월 선자에게 보이다[示性月禪子]...
금오 선자에게 보이다[示金烏禪子]...
학몽 선자에게 보이다[示鶴夢禪子]...
전강 선자에게 보이다[示田岡禪子]...
올연 선자에게 보이다[示兀然禪子]...
포산 선자에게 보이다_만공·포산이 꿈꾸는 즐거움[示飽山禪子_滿飽夢樂]...
진성 사미에게 보이다[示眞性沙彌]...
묘리 비구니 법희에게[妙理比丘尼法喜]...
백련도엽 비구니에게 보이다[示白蓮道葉比丘尼]...
월저지명 비구니에게 보이다[示月底智明尼]...
숭심명순 비구니에게 보이다[示崇深明順尼]...
습득 행녀에게 보이다[賜拾得行女]...
방함록 서(芳啣錄序)...194
선림계 서(禪林稧序)...
덕숭산 정혜사 능인선회 방함록 서(德崇山定慧寺能仁禪會芳銜錄序)...
견성암 방함록 서(見性庵芳銜錄序)...
발원문(發願文)...199
발원문(發願文)...
사홍서원(四弘誓願)...
삼대발원(三大發願)...
수행찬(修行讚)...204
참선곡(參禪曲)...
참선을 배워 정진하는 법...
산에 들어가 중이 되는 법...
청정수행록(淸淨修行錄)...
무자 화두(無字話頭) 드는 법...
법훈(法訓)...217
나를 찾아야 할 필요와 나...
나를 찾는 법_참선법...
현세인생(現世人生)에 대하여...
불법(佛法)...
불교(佛敎)...
승니(僧尼)란 무엇인가?...
대중처(大衆處)에서 할 행리법(行履法)...
경구(警句)...
최후설(最後說)...
탈초, 교감, 입력, 번역 | 선암(이선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