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3.07 출생, 전라북도 정읍군 태인읍 상일리
- 금산사 미륵전 미륵불을 보고 감화를 받아 출가를 결심
- 진암(眞岩)스님 문하에서 공부함. 진암이 경허선사에게 만공을 추천함
- 출가, 사미계 수지, 은사 태허스님, 계사 경허스님
- 출가, 사미계 수지, 은사 태허스님, 계사 경허스님
- 07. 경허선사, 만공이 머물던 보경토굴에 찾아옴 "붗꽃 속에서 연꽃이 피었다"고 평가
- 07. 스승 경허선사가 머물던 부석사에 가서 공부함.
- 07.15 스승 경허가 함경도 갑산으로 가는 길에 천장암을 방문하여 만공(滿空)이란 법호 내림
- 스승 경허가 입적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혜월과 함께 함경도 갑산으로 감
- 01.25 예산 보덕사 주지인가 (전임주지 李徹虛) *조선불교총보 9호
- 설봉학몽(雪峰鶴夢, 1890-1969)이 만공선사 회상에 와서 정진함
- 보덕사
- 석왕사 포교당 (현, 서울 사간동 불이성 법륜사)
- 01.21 보덕사(報德寺) 주지만료, 차기 주지 김성인(金性印)
- 05.15 석왕사포교당에서 선학원 설립자금마련 보살계단 설치, 강연.
- 수덕사 아래 석조관세음보살입상을 발원하여 조성함
- 금강산 유점사 능인보전 53불(신라시대 추정), 1916년에 17불 도난, 그 중 9불이 돌아옴. 만공스님의 원력으로 경성미술품제작소에서 빠진 숫자만큼 새로 조성하여 안치
- 04.23 마을에 보시금 기부
- 09.26 수덕사 주지 취임 (전임자 金東月, 입적)
- 한암중원에게 ⟪선사 경허화상 행장⟫ 찬술을 요청
- 수덕사 칠층석탑을 건립함
- 01. 만공선사, 사비를 내어 능인선원 기공, 수덕사를 정혜사로 편입시킴
- 청담순호(靑潭淳浩, 1902-1971)에게 올연(兀然)이라는 법호와 전법게를 내림
- 08.30 마하연 주지취임
- 0915 수덕사 주지 사직 (후임, 용음법천)
- 청담순호(靑潭淳浩, 1902-1971)에게 올연(兀然)이라는 법호와 전법게를 내림
- 08.30 마하연 주지취임
- 수덕사에 청련당 건립
- 수덕사에 백련당 건립
- 마곡사 주지
- 03.07-08 전조선불교선종수좌대회 사회자(조선불교선종종무원종정)로 참가, 조선불교선리참구원
- 05.10 공주 마곡사 주지 추대결정, 고사함
- 08.15 마하연 주지 사직
- 09.01 "심전개발" 게재 (매일신보)
- 10.09 총독부, 마곡사 주지취직인가(조선총독부관보)
- 혜월, 한암, 만공 종정추대
- 용음법천에게 수덕사 조실 양위
- 04.02 마곡사 주지 만공선사, 목재 벌채 허가요청 (조선총독부관보)
- 05.28 부처님 오신날 (불기 2963년) 기념 설법, 수덕사 (조선중앙일보)
- 06.09 서산군 읍내 불교포교소 설치(이종만, 지역유지), 만공선사 참가 (매일신보)
- 1130 만공, 마곡사 주지 사의표명
- 마곡사
- 서울 부민관 京城府民館(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25 (태평로1가, 서울특별시 의회)
- 총독부(?)
- 수덕사
- 02.20 서울 부민관에서 "도구고별최승희신작무용발회" 참관하고 시를 지음
- 02.26 조선불교31본산주지회동, 마곡사 대표로 참석 (매일신보)
- 03.11 미나미 지로 총독주재 31본산 주지회의 참석. 미나미 총독에게 일갈 함.
- 12.21 마곡사 주지 송만공, 사유림 벌채허가 (조선총독부관보)
- 수덕사 대웅전 해체수리
- 남원 귀정사로부터 목조삼세불좌상을 수덕사 대웅전으로 이운
- 퇴옹성철, 정혜사 능인선원에서 만공스님 모시고 동안거 (불교신문)
- 만공선사, 간월암 중창 (불교신문)
- 퇴옹성철, 서산 간월암 만공스님 토굴에서 하안거, 동안거 (불교신문)
- 08 조선독립기원 천일기도 시작
- 만공선사 수덕사 조실, 용음법천 수덕사 부조실
- 갑신년 동안거 만공선사 주실(籌室), 용음법천 선덕(善德)
- 08.12 조선독립기원 천일기도 회향, 간월암
- 무궁화꽃으로 '세계일화' 휘호
- 을유년 동안거 만공선사 주실, 용음법천 수덕사 주지.
- 해인사, 가야총림 설립 후 종주(조실)로 추대하였으나 고사함. *입승에 효봉선사, 석우선사로 정하였으나 만공선사는 수덕사를 떠날 수 없음을 이유로 고사함 (*보성스님 진술)
- 10.20 병술년 하안거 전월사에서 입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