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梅印悟禪師 / 청매인오선사
江涵旗影動 山帶劍光高却憶曾棲息 千峯片月孤尤極深重 而重山岳而難報
書海墨而難記也 於戯 平生所願 於斯畢矣
지극히 심중深重하여 산악보다도 중해서 갚기 어려우니, 해묵海墨으로 써도 다 기록하기 어렵다. 아, 이렇게 해서 평생의 소원을 다 마쳤다.
月渚道安禪師 / 월저도안선사
三月年年花滿山 紅紅白白間斑斑
如何此日非前日 雪滿千峯萬壑間
해마다 삼월이면 온 산에 꽃이 만발하는데
붉은색 흰색이 사이사이 섞여 아롱졌네
그런데 어째서 오늘은 이전 날과 같지 않고
천산 만 골짜기에 눈만 가득 쌓였는가
喚醒志安禪師 / 환성지안선사
壁破南通北 簷踈眼近天
莫謂荒涼苦 迎風得月先
벽은 허물어져 남과 북이 통하고
처마 성글어 하늘이 눈에 훤하구나
황량하고 괴롭겠다 말하지 말라
남보다 먼저 바람과 달을 맞이하리니
一衲松窓月 無言獨坐
한 납자 달이 뜬 솔 창에서
말없이 홀로 좌선할 때
이 가운데 한량없는 뜻을
귀신이 엿보도록 누가 허락할까
時
箇中無限意 誰許鬼神窺
世尊應化 二千九百五十七年 庚午 元月 三日
臨濟 三十二代 沙門 滿空月面 書于
金仙臺
세존응화 2957년 경오년 1월 3일
임제 32대 사문 만공월면 서
금선대
33. 선문오도송 1930년, 21.4×18.3(반곽17.9×21.2), 수덕사 근역성보관
한국 역대 조사스님들의 오도송과 게송이 10폭으로 이루어진 서첩이다.
원효성사·적인선사·정진대사·진각국사·원감국사·태고보우선사·나옹선사·경성 일선· 부용 영관·벽송 지엄·서산대사·청매 인오·소요 태능·월파 태율·월저 도안·환성 지안·용담 조관의 17명의 조사스님들의 게송이 적힌 첩이다.
《선문오도송(禪門悟道頌)》
만 공 월 면 (滿 空 月 面 ), 1930년 , 지 본 묵 서 (紙 本 墨 書 ), 서 첩 (書 帖 ), 전 체 21.4×18.3cm, 각 면
17.9×21.2cm, 수덕사근역성보관 소장
《선문오도송(禪門悟道頌)》은 만공선사가 한국 역대 조사(祖師) 20명의 오도송(悟道頌)과 게송(偈頌)을 서첩에 서사(書寫)한 작품이다. 이 서첩은 그간 잘 알려지지 않았던 만공스님의 저작으로 만공선사가 중시했던 조사들의 오도송을 모은 것으로 추정된다.
표지를 포함해 19면으로 구성된 《선문오도송》은 경허선사의 법맥도(法脈圖)인 《등등상속(燈燈相續)》과 동일한 수의 조사들로 구성되어있으나, 중복되는 인물은
태고보우, 부용영관, 벽송지엄, 환성지안 등 4명 뿐이다. 만공선사는 《등등상속》등 본인의 법맥을 기준으로 오도송을 선별한 것은 아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서첩의 말미 내용을 통해 금선대(金仙臺)에서 1930년 1월 3일에 서사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30년은 만공선사가 60세 되는 해로 새해의 시작을 맞아 질 좋은 일
본제(日本製) 서첩에 역대 조사의 오도송을 서사하면서 그 가르침을 되새긴 것으로 추정된다. 《선문오도송》 중‘경성일선선사(慶聖一禪禪師)’를‘경성일선사(慶聖一禪師)’, ‘정관일선선사(靜觀一禪禪師)’를‘정관일선사(靜觀一禪師)’로 표기해‘선(禪)’자 하나씩을 빼고 쓴 점이 주목된다. 더불어 정관일선의 시로 실려있는“好在金剛山, 長靑不起 雲. 單瓢宜早去, 風雪夜應紛.”는 제월경헌(霽月敬軒)의 작품이다.
법진
김민규 교정
『선문오도송禪門悟道頌』
『선문오도송』은 만공 선사가 한국 역대 조사祖師 20명의 오도송悟道頌과 게송을 직접 쓴 서첩 자료이다. 이 서첩은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만공 선사의 친필로, 선사가 중요하게 여긴 조사들의 오도송을 모은 것으로 추정된다.
표지를 포함해 19면으로 구성된 『선문오도송』은 경허 선사의 법맥도法脈圖인 「등등상속燈燈相續」과 동일한 수의 조사들로 이루어져 있으나, 중복되는 인물은 태고보우, 부용영관, 벽송지엄, 환성지안 등 네 분뿐이다. 만공 선사는 자신의 법맥을 기준으로 오도송을 선별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서첩의 말미 내용을 통해 1930년 1월 3일, 만공 선사가 금선대에서 작성한 것임을 알 수 있다. 1930년은 만공 선사가 60세가 되던 해로, 새해를 맞이하여 일본산 고급 서첩에 역대 조사들의 오도송을 기록하며 그 가르침을 되새긴 것으로 추정된다.
만공월면 친필, 1930년, 지본묵서, 서첩書帖, 전체 21.4×18.3cm, 각 면 17.9×21.2cm, 수덕사근역성보관 소장.